
MLB 2023년 정규시즌 162 경기 구성 변경
2023년 MLB 정규시즌 스케줄에 큰 변화가 생겼다. 요약하면 인터리그를 20 경기에서 46 경기로 확대하고, 인터리그 상대 또한 디비전 (=5팀) 에서 리그 전체 (=15팀) 로 확대되었다. 2022년까지 시행되었던 MLB 정규 시즌 스케줄링은 아래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2021.07.22 - [expl[a]ined/how it works] - MLB 정규시즌 162 경기 스케줄링 (2013년 이후, 2020년 제외)
MLB 정규시즌 162 경기 스케줄링 (2013년 이후, 2020년 제외)
MLB 리그와 디비전 MLB 정규시즌 162경기 스케줄링을 설명하기 전에, 리그(League)와 디비전(Division)부터 짚고 넘어가자. MLB는 지명타자가 있는 아메리칸 리그(AL)와 투수도 타격을 하는 내셔널 리그(NL
plave.tistory.com
같은 디비전: 76 → 52 경기로 축소 (-24)
같은 디비전에 있는 4 팀과 19 경기씩 진행하던 스케줄을 13 경기로 축소한다. 이에 따라 상대 팀 별로 홈 경기 수는 6 경기 또는 7 경기를 치를 것으로 보인다.
같은 리그 다른 디비전: 66 → 64 경기로 축소 (-2)
같은 리그이면서 다른 디비전에 있는 10 팀과 6 경기 또는 7 경기를 치르는 것은 동일하지만, 2022년까지는 10 팀 중 6 팀과 7 경기를 치렀지만 (66 = 6 * 7 + 4 * 6), 2023년에는 10 팀 중 4 팀과 7 경기를 치르고, 나머지 6 팀과 6 경기를 치른다 (64 = 4 * 7 + 6 * 6). MLB 스케줄링에서 가장 소폭의 변화가 있는 부분이다.
인터리그: 20 → 46 경기로 확대 (+26)
2023년 MLB 정규 시즌 스케줄에서 가장 큰 변화는 바로 인터리그의 확대이다. 2022년까지는 3년을 주기로 인터리그 상대 디비전이 바뀌었지만, 2023년부터는 인터리그 상대가 리그 전체 15 팀이다. 이 중에서 라이벌 팀 (예: 뉴욕 양키즈 vs 뉴욕 메츠) 과는 홈 2 경기와 원정 2 경기 총 4 경기를 진행하고, 나머지 인터리그 14팀과는 3 경기를 진행한다. 그리고 아마도 그 중 7팀과는 홈에서 나머지 7팀과는 원정으로 3 연전을 하지 않을까 싶다.
결론은?
한 팀은 정규시즌 동안 다른 29 팀과 적어도 3 경기를 치르는 스케줄이 될테니까 1) 팬들의 볼거리는 늘어날 것이지만, 2) 팀의 이동 거리와 분석해야 할 상대 선수는 늘어날 것이고, 3) 같은 디비전의 팀 간 경기 수가 줄어듬에 따라 (늘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어떤 팀은 아쉬워할 수도 있고, 다른 어떤 팀은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도 있겠다.
댓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