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counted/Sports

MLB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 타이브레이커 (Tiebreakers) | Baseball 007

by plave 2023. 9. 23.

No More Game 163 

MLB 정규 시즌은 162경기이다. MLB 포스트시즌을 시작하기 전에 디비전 우승이나 와일드카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동률이 발생한 경우, 단판의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렀는데 이를 163번째 경기 (Game 163) 라고 불렀다. 이러한 타이브레이커 경기는 2022년 3월 10일 선수노조와 사무국의 합의로 인해 2022 시즌부터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로 2023 MLB 포스트시즌 대진표와 관련된 글은 아래 링크를 클릭. 

 

2023 MLB 포스트시즌 대진표 (만약 오늘 시작한다면, If the postseason started today)

 

2023 MLB 포스트시즌 대진표 (만약 오늘 시작한다면, If the postseason started today)

2023 MLB 포스트시즌 대진표 만약 오늘 시작한다면 (If the postseason started today) 이라는 가정 하에 2023년 MLB 포스트시즌 대진표는 아래 웹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아래 웹페이지의 내용은

plave.tistory.com

 

MLB 포스트시즌 타이브레이커 

정규 시즌 162경기의 성적이 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팀은 아래 5 단계의 타이브레이커에 의해 순위가 결정된다. 

  1. 상대 전적 
  2. 디비전 내 전적
  3. 디비전 외 전적 
  4. 리그 후반 전적 
  5. 리그 후반+1 전적  

 

5단계의 타이브레이커를 설명하기 전에 정규 시즌 162경기의 구성 요소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 아래 글을 참조하면 좋다. 

 

https://plave.tistory.com/entry/MLB-schedule-2023-regular-season

 

MLB 2023년 정규시즌 스케줄, 인터리그 20경기에서 46경기로 확대

MLB 2023년 정규시즌 162 경기 구성 변경 2023년 MLB 정규시즌 스케줄에 큰 변화가 생겼다. 요약하면 인터리그를 20 경기에서 46 경기로 확대하고, 인터리그 상대 또한 디비전 (=5팀) 에서 리그 전체 (=15

plave.tistory.com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같은 디비전의 4팀과는 팀당 13경기씩 총 52경기를 치르고, 같은 리그 다른 디비전에 있는 10팀과는 6경기 또는 7경기씩 총 64경기를 치르며, 다른 리그의 15팀과 3경기 또는 4경기씩 총 46경기를 치른다는 것. 

 

1. 상대 전적 (Head-to-head Record)  

2팀의 정규 시즌 성적이 같은 경우, 맞대결 전적에 따라 순위가 결정한다. 

  • 디비전 우승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2023년부터 같은 디비전의 4팀과는 13경기씩 치르기 때문에) 이 단계의 타이브레이커로 무조건 순위가 결정된다.
  • 와일드카드 순위 또는 디비전 우승팀 간의 포스트시즌 대진표 순위를 결정하는 경우, 같은 리그이면서 다른 디비전의 2팀이 상대 전적 3승 3패로 동률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타이브레이커로 넘어간다. 

3팀의 정규 시즌 성적이 같은 경우에는 2팀일 때보다 복잡하다. 3팀을 A, B, C 라고 하자.

  • 한 팀이 나머지 2팀에 대해 상대 전적이 모두 우위에 있다면 (A>B, A>C), 그 팀 (A) 이 가장 높은 순위를 획득하고 나머지 팀 (B,C) 은 필요한 경우 다시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한다.
  • 2팀은 서로에 대해 상대 전적이 같고 나머지 한 팀에 대해 상대 전적이 좋다면 (A=B>C), 상대 전적이 동률인 2팀 (A,B) 이 다시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한다. 
  • 위의 두 경우가 아니라면, 3팀 사이의 모든 경기에 대한 각 팀의 전체 승률로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A는 B를 상대로 4승 2패, C를 상대로 3승 4패를 했다면 A의 승률은 0.538 (=7승 6패) 가 된다. B는 C를 상대로 4승 2패를 했다면 B의 승률은 0.500 (=6승 6패) 가 된다. 마지막으로 C의 승률은 0.462 (=6승 7패) 가 된다. 
  • 3팀의 상대 전적과 승률도 모두 같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타이브레이커로 넘어간다. 

 

2. 디비전 내 전적 (Intradivision Record) 

상대 전적이 동률인 경우, 같은 디비전에 있는 4팀과의 전적 (52경기) 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이는 같은 디비전에 속하지 않은 2팀 사이의 와일드카드 경쟁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3. 디비전 외 전적 (Interdivision Record) 

상대 전적과 디비전 내 전적이 동률인 경우, 같은 리그이면서 다른 디비전에 속한 10팀과의 전적 (64경기) 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이는 같은 디비전에 속하지 않은 2팀 사이의 와일드카드 경쟁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4. 리그 후반 전적 (Last Half of Intraleague Games) 

상대 전적, 디비전 내/외 전적이 동률인 경우, 같은 리그에 있는 14 팀과의 후반 전적 (58경기 = (52+64)/2) 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5. 리그 후반+1 전적 (Last Half of Intraleague Games Plus One)

리그 후반 전적까지 동률이라면, 전반기 마지막 경기부터 한 경기씩 더해가며 (맞대결 경기는 제외) 전적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이 과정은 동률이 깨질 때까지 반복한다. 

 

2023 MLB 포스트시즌 타이브레이커 시나리오 

2023년 MLB 포스트시즌에서 동률이 발생하는 경우, 타이브레이커 시나리오는 아래 웹페이지를 참조하면 좋다. 참고로 아래 웹페이지 내용은 매일 업데이트된다. 

 

https://www.mlb.com/news/2023-mlb-postseason-tiebreaker-scenarios

 

Who holds the postseason tiebreakers in 2023?

Since 2022, all ties in the standings -- for a division title or Wild Card spot, or to determine playoff seeding -- have been determined solely by a series of mathematical tiebreakers, rather than on the field. A full breakdown of the current methodology c

www.mlb.com

 

반응형

댓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