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Daylight Saving Time 2022

by plave 2022. 3. 13.

Daylight Saving Time (DST) 

지역에 따라 Summer Time 이라고도 불리는 그것이 올 해도 어김없이 찾아온다.  적당히 높은 위도 지역 (주로 미국과 캐다나 그리고 유럽) 에서 여름에 해가 너무 빨리 뜨는 문제를 보정하기 위해 봄에 1시간을 앞당겼다가 가을에 다시 1시간을 늦추는 (Spring Forward, Fall Back) 제도를 말한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은 DST를 적용하는 지역, 주황색은 DST를 과거에 적용했던 지역, 마지막으로 빨간색은 DST를 적용한 적 없었던 지역을 뜻한다.  한국도 과거에 잠깐 DST를 적용한 적이 있다.  

 

Nairobi / 1.2921 S, 36.8219 E

 

위 그림과 같이, 적도에 가까운 지역 (예: 나이로비) 은 1년 내내 낮과 밤의 길이 차이가 적다.  때문에 DST를 적용해서 좋을 이유가 전혀 없다. 

 

 

Reykjavik / 64.1466 N, 21.9426 W

 

반면에 극 지방에 너무 가까워도 (예: 레이캬비크) DST 적용이 큰 의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 

 

New York / 40.7128 N, 74.0060 W

 

결국, 적당한 지역 (예: 뉴욕) 에서 DST는 그 위력을 발휘한다.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DST를 적용하면 (즉, 봄에 1시간을 앞당기고 가을에 1시간을 늦추면) 1년 내내 해 뜨는 시간을 비슷한 시간대에 묶어둘 수 있다. 

 

DST in United States 

2007년 이후, 미국에서의 DST는 3월 둘째 일요일에 시작하고, 11월 첫째 일요일에 끝난다.  이는 곧 1년(=52주) 중 DST 기간(=34주)이 그렇지 않은 기간(=18주)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는 것.  이정도면 DST를 원래 시간대라고 생각하는 게 맞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Public Domain,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73054248

 

미국의 시간대 (Time Zone) 는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6개이다.  이 중에서 비교적 낮은 위도에 위치한 하와이 주는 DST를 적용하지 않는다.  결국 DST 시즌이 되면, 하와이와 동부의 시간 차이는 5시간이 아닌 6시간이 되는 셈. 

 

 

DST를 적용하지 않는 또 하나의 주가 있는데 그곳은 애니조나.  그런데 애리조나 주 전체가 DST를 적용하지 않는 것은 또 아니다.  위 그림의 애리조나 주에서 빗금 친 부분이 DST를 적용하지 않는 지역이고, 애리조나 주의 북동쪽 일부 지역은 DST를 적용한다.  이러한 변칙의 이유는, 

 

The Navajo Nation

 

애리조나 주는 물론, 유타 주와 뉴 멕시코 주에 자리 잡고 있는 The Navajo Nation 지역 때문이다.  유타 주와 뉴 멕시코는 DST를 따르기 때문에 애리조나 주에 있는 The Navajo Nation 지역도 함께 DST를 적용하기로 했다. 

 

The Navajo Nation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애리조나 주는 DST를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을~봄에는 Mountain 시간대에 포함되었다가, 봄~가을에는 Pacific 시간대에 포함된다.  이렇게 설명하니까 굉장히 헷갈릴 것 같지만, 사실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1년 내내 시간 변동이 없으니 전혀 불편함이 없을 지도 모르겠다.  

 

DST 2022 in United States 

2022년 미국의 DST는 3월 13일 (일) 에 시작하고, 11월 6일 (일) 에 끝난다. 

 

https://www.timeanddate.com/time/change/usa

 

토요일 밤에 자고 일요일 아침에 일어나면 휴대전화 및 컴퓨터의 시간이 자동으로 바뀌어 있어서 잘 모르겠지만, Spring Forward 일 때는 새벽 1시 59분에서 1분 뒤에 새벽 3시가 되고, Fall Back 일 때는 새벽 1시 59분에서 1분 뒤에 새벽 1시가 되는 그런 원리(?)이다. 

 

반응형

댓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