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동전 처리 방법
한국도 마찬가지이지만 미국에서 현금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간혹 현금만 받는 곳에서는 어쩔 수 없이 잔돈 그 중에서도 동전이 발생한다. 그나마 쿼터 (Quarter) 는 주차를 하거나 톨 비용을 내야할 때라도 쓸 일이 있어서 남겨 두는데, 나머지 동전 (Dime, Nichel, Penny) 은 거의 쓸 일이 없다.
미국으로 여행와서 생긴 약간의 동전은 기념품처럼 가지고 돌아가거나, 공항에서 커피 사 마시면서 없앨 수는 있다 (동전 전부 내면서 나머지는 카드로 계산하기).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장기간에 걸쳐 쌓인 동전을 처리하기(?)에는 이 글에서 설명하는 코인스타 (coinstar) 만한 게 없는 듯 하다.
Coinstar
미국의 대형 마트 (그 중에서도 특히 월마트) 에 가면, 계산대 또는 고객센터 근처에 자판기처럼 생긴 초록색 기계 (아래 그림 참조) 가 있는데, 상단에 떡 하니 coinstar 라는 이름이 쓰여 있다.
코인스타는 동전을 지폐나 기프트 카드로 (최근에는 암호화폐로도) 바꾸어 주는 기계이다. 물론, 기부도 할 수 있다.
1) 지폐로 교환하기
동전을 지폐로 교환하는 방법은 가능은 하지만 추천하기 어려운데, 이유는 수수료 때문이다. 2022년 현재 기준, 지폐 교환 수수료는 12.5% + 50센트 이다. 이는 100달러 가치의 동전을 지폐로 교환하면 무려 13달러를 수수료로 지불하고, 87달러만 지폐로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2) 기프트 카드로 교환하기
기프트 카드로 교환하는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수수료가 없다는 것이다. 2022년 현재, 선택 가능한 기프트 카드는 아래 표와 같다. 아래 표에서 최소 (Min) 금액은 미리 알아두고 동전을 바꾸러 가는 것이 좋겠다. 최대 (Max) 금액은 뭐... 여러 번 바꾸면 되니까.
Min | Max | |
AMC | $10 | $100 |
Amazon | $5 | $1,000 |
Apple | $10 | $500 |
Applebee's | $5 | $500 |
Cabela's | $5 | $500 |
Chili's | $5 | $100 |
Domino's | $5 | $100 |
DoorDash | $15 | $200 |
GameStop | $5 | $500 |
GAP | $10 | $500 |
Hotels.com | $10 | $500 |
IHOP | $5 | $200 |
Lowe's | $5 | $1,000 |
Nike | $5 | $500 |
Outback Steakhouse | $5 | $500 |
Roblox | $5 | $500 |
Razer Gold | $10 | $500 |
Red Robin | $5 | $150 |
Southwest | $25 | $500 |
Starbucks | $5 | $500 |
Steam | $5 | $250 |
Texas Roadhouse | $5 | $100 |
The Home Depot | $3 | $2,000 |
3) 기부하기
아래 링크에 나와 있는 자선 단체에 기부할 수도 있다.
https://www.coinstar.com/charitypartners
미국 동전을 스타벅스 기프트 카드로 교환
그 동안 주로 아내가 모았던 동전 중에서 쿼터를 제외하고, 집 근처 월마트 안에 있는 coinstar 기계에 가져가서, 스타벅스 기프트 카드로 교환해봤다.
교환 방법은 간단하다. 1) 교환 옵션을 선택하고, 2) 동전을 때려 넣고, 3) 영수증처럼 생긴 종이를 받으면 된다. 내 경우에는 1) 스타벅스 기프트 카드로 선택한 다음, 2) 동전을 꽤 많이 때려 넣었는데, Penny가 대부분이라서 $16.68 밖에 안되네? (그 와중에 쿼터 1개가 들어갔... 응?)
이 화면에서 "I'm done" 을 터치하면, 아래와 같이 영수증처럼 생긴 종이가 나온다.
이제 스타벅스 앱에서 위 종이 상단에 쓰여 있는 Your Starbucks Card Number 그리고 Card Security Code 를 입력하면, 수수료 없이 $16.68 짜리 기프트 카드를 받을 수 있다. 이미 기프트 카드 받아 먹었지만, 습관적으로 모자이크한 건 안비밀.
댓글 (Comments)